이번 주에도 어김없이 날아든 청첩장, 간혹 고지서처럼 느껴질 때가 있죠.
3만 원이냐, 5만 원이냐, 10만 원이냐.
축하의 마음은 얼마로 표현해야 하는 걸까 갈등이 이는 것도 사실입니다.
지갑 사정을 생각하자니 인색해지고, 더 넣자니 무리하는 것 같은 경조사비! 얼마가 최선일까요?
올해 이뤄진 한 설문조사를 보면, 10명 가운데 6명이 5만 원을 낸다고 답했고요.
10만 원을 낸다는 사람도 2명 이상이었습니다.
아직도 얼마를 내야 할지 알쏭달쏭하시다고요? 그렇다면 이렇게 계산해보는 건 어떨까요?
인터넷에 떠도는 적정 축의금을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재미로 준비해봤습니다.
예를 들어 결혼식에 초대받았습니다.
그렇다면 우선 결혼하는 이가 나와 얼마나 친한지 친분 관계를 따져봐야 하고요.
예식장의 식대와 답례품 시세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합니다.
여기에 이전에 내가 받았던 경조사비를 염두에 두고, 결혼식에 갈지 말지 간다면 몇 명을 데리고 가는지까지 대입해야 소위 욕먹지 않는 적정 축의금이 나온다는데요.
이게 끝이 아닙니다.
친하다고 생각해 거액을 넣었다가 나중에 사이가 멀어질 수도 있으니, 친분 관계의 미래 가치까지 세세하게 계산해봐야 한다고 합니다.
경조사비 하나에 인간관계를 되돌아보게 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니 마냥 웃고 넘길 얘기는 아니죠?
'꼭 가야 하나' 내키지 않는 경조사도 많다고 합니다.
저도 이런 경험 있었는데요.
고등학교 졸업한 뒤에 왕래 조차 없다 오랜 만에 연락이 와서 결혼에 초대하는 친구도 그렇고요.
내가 결혼할 때, 우리 아이 돌잔치 때는 축하 한마디 없어 놓고, 자기 경조사에는 꼬박꼬박 부르는 이의 잔치도 가기 꺼려진다는 답이 많았습니다.
좋은 일은 함께 기뻐해 주고 어려운 일의 슬픔은 나누자는 의미의 경조사비.
그저 마음이 중요한 건데 어느덧 경조사비가 부담이 돼 버린 것 같아 한편으로는 씁쓸하기도 합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60630092216270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